지수추종ETF에 대하여 - KODEX 코스닥150 레버리지 투자
오늘은 ETF 중에서 지수추종 ETF에 대해 간단히 기술해보겠습니다.
개별 기업에 대해 잘 모르겠고, 시장이 혼조세로 움직일 때 가장 좋은 투자처인 지수추종 ETF에 대해 소개해보겠습니다.
지난 2019년 8월에 KODEX코스닥150레버리지를 매수해 최근 2020년 2월 중순에 매도해 45%의 수익률을 올린 바 있습니다.
그리고 이번 시장상황이 나빠져 전체적인 장세가 안좋아지자 다시 하락했고, 2월 25일 매수해 다시 재진입하여 26일 장이 마감된
현재 약 4.5%의 수익을 올리고 있습니다.
위는 삼성자산운용에서 운용하는 KODEX코스닥150레버리지 차트이고 아래는 코스닥 상위 150 종목의 지수인 코스닥150지수의 차트입니다.
비슷한 시기에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차트가 보이시나요?
지수추종 ETF 가 좋은 이유가 위의 차트에서 보듯이 시장의 흐름과 움직임을 함께 한다는 것인데요.
이때 수익을 더욱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레버리지입니다.
수많은 ETF 상품의 이름을 보면 상품의 성격을 바로 알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'KODEX코스피100' 은 코스피 상위 100개 종목에 투자하는 ETF 상품이고, 'KODEX 은선물' 은 은 원물에 투자하는 성격의 ETF 입니다.
그리고 그 뒤에 다시 수익이 나는 방식을 말하는 '레버리지' 또는 '인버스' 를 붙여서 그 성격을 추가하여 알려줍니다.
이때 레버리지는 지수가 움직이는 변동성의 '곱하기 2' 의 방식으로 변동성이 정해지고,
인버스는 반대로 '곱하기 -1' , 즉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변동성을 가집니다.
조금더 풀어보자면, 필자가 투자한 코덱스 코스닥150 레버리지 ETF는 코스닥 150 지수가 전일대비 2% 상승했다면,
ETF는 4% 상승하는 것이고, 반대로 코덱스 코스닥 150 인버스는 -2%가 되는 것입니다. (ETF가 보유한 주식의 비중에 따라 완벽하게 산식이 맞아떨이지지 않습니다)
위의 설명을 토대로 풀어보자면, 'KODEX 코스닥150 레버리지' 의 상품명을 풀어보자면, 'KODEX' 는 삼성자산운용이 운용하는 ETF상품임을 나타내는 브랜드와 같은 것이고, '코스닥 150' 은 문자 그대로 '코스닥 상위 150개 종목에 투자한다' , '레버리지' 는 '코스닥150지수의 수익률의 두 배의 변동성을 가진다' 입니다.
그러면 어떻게 사고 팔 수 있을까요?
기본적으로 ETF는 파생상품입니다. 그러므로 투자성격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투자성향을 보여주며 진단을 마치고 ETF 거래 신청을 해야하는데요. 이는 각 증권사마다 방식이 조금씩 차이가 있어 여기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. (주식계좌를 보유중이시다면, 간단히 ETF 거래 신청을 통해 쉽게 하실 수 있으실거에요)
그렇다면 지금과 같은 시장 하락기에 적합한 상품은 무엇일까요?
저는 현재는 시장이 하락하여 바닥을 다진다는 판단 하에 앞으로 중, 장기적으로 오를 것을 기대하고 지수추종 ETF 중에서도 2배의 수익을 거둘 수 있는 레버리지상품을 매수하였습니다.
또는 어떤 이들은 시장의 혼조세가 더 길어진다고 보고 조금 더 짧은 타이밍으로 인버스 ETF에 투자해 단타를 노려볼 수도 있겠지요.
실제로 제 지인은 'KODEX 코스피 인버스' 를 매매하여 시장이 하락하는 이틀간 약 10% 의 수익을 거두었습니다.
ETF에 편입한 종목 또한 해당 운용사 사이트를 통해 쉽게 알아보실 수 있는데요.
실제로 제가 투자한 KODEX 코스닥150 레버리지를 예를 들어 한번 찾아보겠습니다.
먼저 삼성자산운용이 제공하는 ETF 사이트에 접속합니다. (http://www.kodex.com/main.do)
이렇게 검색해주면 아래 목록에 해당 ETF가 뜨고, 이를 누르면 상세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.
위의 화면에서 보이는 투자종목정보를 누르시면, 보유 종목의 비중과 종목명을 볼 수 있고, 해당 종목의 종가 또한 알 수 있습니다.
또한 보유종목 전체 다운로드를 통해 엑셀파일로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.
이렇게 보시면 좋은 점이, 해당 ETF가 어떤 산업군을 많이 담고 있는지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장상황을 보아 추가매수 또는 매도에 대한 의사결정을 도와줍니다.
KODEX 뿐만 아니라 다른 금 선물, 은 선물, 달러 선물 등 다양한 ETF 상품이 매우 많으니 참고하여 투자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.
주식시장에서 긴 호흡으로 운용하는 법과 짧은 호흡으로 배트를 짧게 잡고 운용하는 법, 두마리의 토끼를 잡으시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.
저 또한 아직은 초보티가 팍팍나는 주린이 이지만, 점점 더 성장하는 모습을 보이며 더 좋은 글로 지식을 나누겠습니다.